
우리가 한국어를 사용할 때 제대로 쓰는 것 같지만 사실 전혀 말이 되지 않는 말을 사용할 때가 너무나 많다. 국어사전에 보면 ‘~같다’는 ‘조사가 붙지 않은 체언에 바로 이어지거나 추측이나 불확실한 단정을 나타냄’이라고 정의한다. 그런데, 무의식적으로 명확한 사실에 대해 말할 때도 “~같다”며 추측이나 불확실한 것처럼 말하는 것을 너무나 쉽게 볼 수 있다. 예컨대, 지금 비가 내리고 있는 데도, “비가 내리는 것 같습니다”라고 말하는 경우다. 특히, 사실을 전해야 하는 직업인들이 추측이나 불확실한 말로 “~하는 것 같습니다”라고 말한다면 ,그 말의 힘은 분명 약해진다.
TV토론이나 인터뷰 내용 등을 듣다보면 말끝마다 “~같습니다”라는 표현을 흔하게 듣게 된다. 예를 들어, “우리 축구팀이 이겨서 기분이 좋은 것 같습니다”는 “기분이 좋다”고 해야 맞다. 심지어, 역사적으로 확실한 사건을 얘기하면서도 “한국전쟁은 1950년에 발발한 것 같습니다”라고 말하는 사람도 봤다. 이처럼 잘못된 표현을 한국으로 귀화한 외국인이나 북한이탈주민도 사용하는 것을 보면, 무심코 여길 일이 아니다.
이밖에도 습관처럼 잘못 사용하는 말이 더 있다. 결혼한 지 수십 년 된 여성이 자신의 남편을 ‘우리 신랑’이라고 말하는데, 신랑은 엄연히 갓 결혼한 남편을 표현하는 것이니 ‘우리 남편’이나, ‘내 남편’으로 표현해야 한다. 반대로, 남편이 자기 아내를 ‘우리 신부’라고 부른다면 우스운 표현이 되는 것과 동일하다. 흔히 잘못 쓰는 표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.
- 여기 앉으실게요. 앉으시겠습니다.
(전혀 성립이 안됨) = 여기 앉으세요. 앉아 주세요 - 제가 아시는 분
(자신을 높이는 말) = 제가 아는 분 - 저는 홍길동 교수입니다
(직함이 뒤에 있으면 자신을 높임) = 저는 교수 홍길동입니다 - 어르신이 넘어지시지 않으시게…
(두 번 존칭) = 어르신이 넘어지지 않으시게 - 계산 도와드리겠습니다
(계산을 대신 해 준다는 뜻) = 계산해 드리겠습니다 - 저는 부인과 10년 전에 결혼해서…
(‘부인’은 상대방이 존칭으로 사용할 수 있음) = 저는 아내와 10년 전에 결혼해서… - 제 남편이 하셨어요
(남에게 말하면서 자기 남편을 높이는 말) = 제 남편이 했어요 - (식물이나 물체를 지칭하면서) “얘”나 “쟤”로 호칭 하는 경우
= ‘얘’는 ‘아이’의 준말이고 ‘쟤’는 ‘저 아이’의 준말로, 사람에게만 사용해야 맞다.
어법에 맞지 않는 말들을 별생각없이 듣고 쓰고 했던것이 부끄럽습니다^^;;
관심있게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.~